시놀로지 나스 VPN 서버 사용법

시놀로지 나스 VPN 서버 사용법

1. 개요

시놀로지 VPN 서버를 활용하기에 앞서, VPN이 무엇인지, 우리는 왜 VPN을 쓰는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VPN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의 약자로, 가상으로 외부망에서 내부망(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마치 같은 라우터 밑에 있는 PC처럼 말이죠.

접속위치 우회 (외국에서 한국전용 동영상 등을 시청가능)

포트포워딩 없이 내부망에 있는 기기들의 열려있는 포트를 모두 이용가능.

포트포워딩을 안해서 보안상 더 안전함.

내부망에 있는 컴퓨터는 VPN으로 내부망에 접속된 컴퓨터에 접속할 수 없음.

기기와 운영체제, 접속환경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상이함.

2. 패키지 설치

VPN 서버

패키지 센터에서 VPN 서버를 설치해줍니다.

3. VPN 종류별 서버 설정

VPN 서비스 관리 부분의 개요, 연결목록, 로그, 일반설정 4개 탭은 그냥 한번 들어가보기만 해도 알 수 있어서 굳이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권한부분만 살짝 말씀드리자면, 권한목록에서 해당 VPN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체크되어있는 사용자만 VP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PTP 서버 설정하기

PPTP는 공유기에서 NAT 패쓰쓰루를 지원해야하고 (당연히 공유기 설정에서 켜져있어야하고) 만약 공유기에 PPTP서버가 켜져있다면 포트포워딩이 안되기 때문에 기능을 꺼주셔야합니다.   공유기별로 다 설정화면이 조금씩 다른관계로 그부분은 설명드리지 않습니다.

공유기에서 만약 NAT 패쓰쓰루를 지원하지 않을경우, 나스를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에 직결하면 됩니다만, 그럼 보안을 위해 방화벽 설정을 좀 해줘야하는데 초보자분들은 방화벽 설정하기 힘드실 수도 있습니다.

VPN 서버 패키지를 실행하고 PPTP탭에서 PPTP VPN 서버 활성화에 체크해주면 서버 활성화는 끝입니다.
최대 연결 수와 동일한 계정의 최대 연결 수는 원하시는 대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적용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TCP 1723번 포트를 열라고 합니다.  해당 포트를 열어주기 위해 제어판으로 갑니다.

제어판-외부액세스-라우터구성에서 포트포워딩을 할 수 있는데, upnp를 지원하지 않는 공유기의 경우는 공유기 설정화면에서 직접 해주셔야합니다.
공유기 설정화면은 제작사마다 상이하니 자세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상단에 생성 버튼을 누르면 새 포트포워드 규칙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내장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이렇게 TCP 1723 포트가 있습니다.  체크하고 적용해줍시다.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OPENVPN 서버 설정하기

VPN 서버 패키지를 실행하고 OpenVPN탭에서 OpenVPN 서버 활성화에 체크해주면 서버 활성화는 끝입니다.최대 연결 수와 동일한 계정의 최대 연결 수는 원하시는 대로 지정하시면 됩니다.OpenVPN은 사용할 포트를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0 ~ 65535) .
내부 네트워크의 다른기기에도 접속하려면 [클라이언트 서버의 LAN 액세스 허용]을 체크해줍시다.

적용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UDP 1194번 포트를 열라고 합니다.  해당 포트를 열어주기 위해 제어판으로 갑니다.

제어판-외부액세스-라우터구성에서 포트포워딩을 할 수 있는데, upnp를 지원하지 않는 공유기의 경우는 공유기 설정화면에서 직접 해주셔야합니다.
공유기 설정화면은 제작사마다 상이하니 자세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상단에 생성 버튼을 누르면 새 포트포워드 규칙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내장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이렇게 UDP 1194 포트가 있습니다.  체크하고 적용해줍시다.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L2TP/IPsec는 공유기에서 NAT 패쓰쓰루를 지원해야하고 (당연히 공유기 설정에서 켜져있어야하고) 만약 공유기에 L2TP/IPsec서버가 켜져있다면 포트포워딩이 안되기 때문에 기능을 꺼주셔야합니다.   공유기별로 다 설정화면이 조금씩 다른관계로 그부분은 설명드리지 않습니다.
공유기에서 만약 NAT 패쓰쓰루를 지원하지 않을경우, 나스를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에 직결하면 됩니다만, 그럼 보안을 위해 방화벽 설정을 좀 해줘야하는데 초보자분들은 방화벽 설정하기 힘드실 수도 있습니다.

VPN 서버 패키지를 실행하고 OpenVPN탭에서 OpenVPN 서버 활성화에 체크해주면 서버 활성화는 끝입니다.
최대 연결 수와 동일한 계정의 최대 연결 수는 원하시는 대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사전공유 키에 원하는 비밀번호를 적고 사전공유 키 확인에 한번 더 적습니다.

적용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UDP 1701, 500, 4500번 포트를 열라고 합니다.  해당 포트를 열어주기 위해 제어판으로 갑니다.

제어판-외부액세스-라우터구성에서 포트포워딩을 할 수 있는데, upnp를 지원하지 않는 공유기의 경우는 공유기 설정화면에서 직접 해주셔야합니다.
공유기 설정화면은 제작사마다 상이하니 자세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상단에 생성 버튼을 누르면 새 포트포워드 규칙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내장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이렇게 UDP 1701과 500, 4500 포트가 있습니다.  체크하고 적용해줍시다.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추가———————————–

방화벽에 [규칙없으면 모두 허용]임에도 불구하고 방화벽에서 안열어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더군요.

UDP 1701, 500, 4500을 제어판-보안-방화벽-규칙편집에서 추가해줍시다.

생성

아래와 같이 지정하고 포트에 선택을 누릅니다.

스크롤 내리면 1701과 500, 4500있습니다.  체크해주고 확인.

확인

4. 기기별 VPN 사용방법

기기별로 기본으로 지원하는 VPN 프로토콜이 다릅니다.  국가별, 또는 해당 와이파이 환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구요.  OpenVPN  같은 경우, 대다수의 기기와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보안도 좋습니다.  다만 중국같은 경우는 OpenVPN이 안되고 SSTP를 쓰셔야하는데 SSTP는 2019.04.23 기준으로 시놀로지 나스에서는 지원하지 않고, rt2600ac 같은 시놀로지 공유기에서는 지원합니다.

계정명이 한글일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추가———-

지인분이 중국에서 PPTP해봤는데 성공하셨답니다.  대신 속도가 엄청 느리대요.

윈도우10 PPTP

PPTP는 OpenVPN과 다르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윈도우 설정만으로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보안에 가장 취약한 프로토콜입니다.)  PPTP는 rdp(윈도원격접속)으로 PC에 접속해있는 상태에서 그 PC를 VPN으로 연결하면 연결이 끊어지니 주의하세요.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돋보기모양을 눌러 VPN을 검색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뜨는 VPN 설정을 클릭해줍니다.

VPN연결 추가를 눌러줍니다.

VPN 정보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넣어주시면 됩니다. 다 넣고 저장한 다음 설정창은 닫으셔도 좋습니다.

작업표시줄 우측밑에 보면 모니터모양(이더넷-유선랜) 아이콘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하셨다면 와이파이 아이콘이 있을텐데요,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시면 이렇게 VPN을 바로 연결할 수 있게 메뉴가 생긴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결을 눌러 연결해줍시다.

‘연결됨’ 이라고 뜨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윈도우10 OpenVPN

OpenVPN은 설정은 좀 귀찮지만 안전하고 거의 대부분의 환경에서 잘 작동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포트가 막혔을때 다른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할 수도 있구요.  OpenVPN은 rdp(윈도원격접속)로 접속한 PC를 다른곳에 VPN으로 연결해도 rdp 접속이 끊어지지 않습니다.
https://openvpn.net 에 들어가 파일부터 받읍시다.

파일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윈도우 인스톨러 (exe)로 받아줍시다.
설치는 무조건 다음다음만 누르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readme 파일이 뜰텐데 그냥 끄셔도 되구요, 따로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말은 안나옵니다.  바탕화면에 가보시면 이렇게 생긴 아이콘이 생겼을겁니다.

해당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작업표시줄에 위와 같은 모니터+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뜹니다.

이제 시놀로지 관리화면에서 VPN 서버의 OpenVPN 탭으로 가줍시다.  ‘내보내기 구성’을 클릭하여 구성파일이 들어있는 zip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우클릭하여 압축을 풀어줍시다.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은 ovpn설정파일과 인증서 등이 들어있습니다.

이제 메모장을 열어줍니다.  메모장이 어딨는지 모르시면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검색하시면 뜹니다.
파일-열기를 눌러 아까 그 ovpn설정파일을 열어줍니다.

메모장 기본이 텍스트파일로 되어있어 ovpn파일이 안보일텐데 모든 파일로 바꿔주시면 보입니다.

YOUR_SERVER_IP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나스의 외부아이피 (또는 ddns주소)로 바꿔주세요.  http나 https는 안붙이셔도 됩니다.  포트번호도 안붙이셔도 되구요.  예시) 123.456.564.323  또는 chelly.kr 등등…

그리고 저장해줍니다.

이제 다시 작업표시줄에 OpenVPN아이콘으로 가서 우클릭하여 파일불러오기를 누릅니다.

아까 저장한 VPNConfig.ovpn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눌러줍니다.

확인.

다시 작업표시줄 OpenVPN아이콘으로 가서 우클릭 후 VPNConfig – 연결을 눌러줍시다.  만약 다른곳의 OpenVPN도 같이 쓰신다면 VPNConfig파일을 불러오기 전에 이름을 알기쉬운걸로 바꿔두시면 편합니다.

나스에서 쓰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줍시다.

공항이나 카페에서 편하게 쓰고 싶으시면 위아래 둘다 체크해주고 액세스 허용을 눌러줍시다.

아이콘에 마우스 올려보면 이렇게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결해제는 연결할때 드갔던 메뉴에 있습니다.

VPNConfig.ovpn파일을 새로운 컴퓨터에서 쓸때마다 수정하는게 귀찮으신분들은 아까 수정한 파일을 나스또는 구글드라이브 등에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 다운받아 쓰면 편리합니다.

윈도우10 L2TP/IPsec

제가 테스트해본결과, L2TP는 나스빼고 다 접속 되더군요 ;;   혹시 나스 성공하신분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스를 제외한 공유기, PC 등 다른 네트워크 기기는 잘 접속되었습니다.  PPTP에 비해 보안은 좋습니다.

윈도우 작업표시줄의 돋보기모양을 눌러 VPN을 검색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뜨는 VPN 설정을 클릭해줍니다.

VPN연결 추가를 눌러줍니다.

VPN 정보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넣어주시면 됩니다. 다 넣고 저장한 다음 설정창은 닫으셔도 좋습니다.
미리 공유한 키는 VPN서버 L2TP탭에서 설정해주신 그 암호이고 밑에 있는건 권한있는 나스 계정+비번입니다.

작업표시줄 우측밑에 보면 모니터모양(이더넷-유선랜) 아이콘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하셨다면 와이파이 아이콘이 있을텐데요,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시면 이렇게 VPN을 바로 연결할 수 있게 메뉴가 생긴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결을 눌러 연결해줍시다.

‘연결됨’ 이라고 뜨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추가——————–

잘 쓰다가 급 안됬는데 나스재부팅하니깐 해결됬습니다.

맥 L2TP/IPsec

제가 테스트해본결과, L2TP는 나스빼고 다 접속 되더군요 ;;   혹시 나스 성공하신분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스를 제외한 공유기, PC 등 다른 네트워크 기기는 잘 접속되었습니다.  PPTP에 비해 보안은 좋습니다.
시스템 환경설정-네트워크

왼쪽 아래 + 버튼 눌러서 vpn 선택

유형-IPSec을 통한 L2TP. 서비스 이름 – 알아보기쉬운걸로

서버주소 https://와 포트번호를 제외한 순수 ddns주소 또는 외부아이피
계정이름은 나스에 VPN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인증 설정을 눌러 사용자인증 암호는 나스 암호, 시스템인증 공유암호는  VPN 서버에서 설정했던 암호 입력.

고급으로 들어가서  [VPN연결을 통해 모든 트래픽 전송 체크]
확인 누르고 적용도 누르면 완료.

이제 상단바에서 편하게 VPN에 연결가능합니다.

——————–추가——————–

잘 쓰다가 급 안됬는데 나스재부팅하니깐 해결됬습니다.

iOS OpenVPN

OpenVPN은 설정은 좀 귀찮지만 안전하고 거의 대부분의 환경에서 잘 작동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포트가 막혔을때 다른 포트로 변경해서 사용할 수도 있구요.  OpenVPN은 rdp(윈도원격접속)로 접속한 PC를 다른곳에 VPN으로 연결해도 rdp 접속이 끊어지지 않습니다.

시놀로지 관리화면에서 VPN 서버의 OpenVPN 탭으로 가줍시다.  ‘내보내기 구성’을 클릭하여 구성파일이 들어있는 zip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우클릭하여 압축을 풀어줍시다.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은 ovpn설정파일과 인증서 등이 들어있습니다.

이제 메모장을 열어줍니다.  메모장이 어딨는지 모르시면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검색하시면 뜹니다.
파일-열기를 눌러 아까 그 ovpn설정파일을 열어줍니다.

메모장 기본이 텍스트파일로 되어있어 ovpn파일이 안보일텐데 모든 파일로 바꿔주시면 보입니다.

YOUR_SERVER_IP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나스의 외부아이피 (또는 ddns주소)로 바꿔주세요.  http나 https는 안붙이셔도 됩니다.  포트번호도 안붙이셔도 되구요.  예시) 123.456.564.323  또는 chelly.kr 등등…

그리고 저장한 후에 나스폴더에 넣던지 구글드라이브 같은곳에 넣어서 폰에서 Config 파일을 꺼내올 수 있게 해둡니다.

그리고 앱스토어에 드가서

OpenVPN Connect를 받습니다.

OVPN Profile 로 들어갑시다.

그리고 아까 나스에 저장해둔 ovpn파일을 불러옵니다. (전 ds파일로 했습니다.)

ds file에서 불러올 파일 옆에 … 누르면 메뉴가 뜨는데 거기서 사본보내기를 누르면

OpenVPN에 복사가 있습니다.

그럼 이렇게 되는데, 여기서 ADD를 눌러줍시다.

다음과 같이 Title은 암거나하시고 Username과 Password는 권한있는 나스계정으로 하면 됩니다.

지문인식 찍어주시고

이제 완료되었고, 토글버튼을 눌러 VPN을 끄고 켤수 있습니다.

iOS L2TP

제가 테스트해본결과, L2TP는 나스빼고 다 접속 되더군요 ;;   혹시 나스 성공하신분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나스를 제외한 공유기, PC 등 다른 네트워크 기기는 잘 접속되었습니다.  PPTP에 비해 보안은 좋습니다.

설정에 들어가줍시다.

일반

VPN

VPN 구성추가

아래와 같이 입력.
서버주소는 https:// 나 포트번호는 붙이지 않습니다.
계정=나스계정 암호=나스암호 비밀=VPN서버에서 설정한 비밀

원하는 VPN설정을 체크한 후 토글버튼을 눌러 연결할 수 있습니다.

——————–추가——————–

잘 쓰다가 급 안됬는데 나스재부팅하니깐 해결됬습니다.

시놀로지 마인크래프트 모바일 서버 설치 (Nukkit)

시놀로지 마인크래프트 모바일 서버 설치 (Nukkit)

Nukkit은 Java로 구동되는 마인크래프트 서버입니다.  사촌이 마인크래프트 PE 시작한다길래 시놀로지 나스에 서버를 설치해봤습니다.  삽질하신 많은 분들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저는 단 이틀만 삽질해서 성공했습니다.

처음에는 정은성님 블로그를 보고 따라하다가 막혀서, 그분 블로그를 보고 따라하다가 막혀서 중간에 살짝 다른방법으로 우회한 분의 블로그를 보고 따라하다가… 결국 잘 안되서 어쩌다보니 다른 방법으로 직접 성공했습니다.  정말 많은 시행착오가…

1. 설치할 패키지

Docker

JAVA8

도커로 설치할거니까 도커받고… Java로 구동되는거니까 Java도 받았습니다.

2. 마인크래프트 세이브 파일이 저장될 폴더 만들기

이 폴더를 만들고 나중에 도커와 연결시켜줘야 서버를 껐다킬때 맵도 안날아갑니다.

원하는 경로에 원하는 이름으로 만드시면 되는데 저는 /volume1/docker경로에 mcpe라는 이름으로 만들었습니다.

3. 만든 폴더의 권한 설정하기

SSH로 루트권한으로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코드를 넣어 권한설정해주면 됩니다.

/volume1/docker/mcpe 부분은 본인이 만든 폴더의 경로를 넣어주세요.

chmod -R 775 만든폴더경로
chown -R NAS아이디:administrators 만든폴더경로

SSH로 접속하는 법과 루트권한 획득하는법 모르겠으면 아래 포스팅 참고하세요.
시놀로지 나스 SSH로 접속하기.

https://chelly.kr/wp-content/uploads/sites/3/mcpe2.png

4. 도커로 nukkit 서버 설치하기

준비되셨으면 도커로 nukkit 서버를 설치해봅시다.

hub.docker.com에 nukkit을 검색하니 ixilon 님이 만든게 제일 위에 뜨는군요.  전 이걸로 설치했습니다.

위 이미지에 제가 하이라이트한 부분을 보시면 일단 첫번째 줄은 해당이미지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커맨드고, 두번째 줄은 마인크래프트 세이브파일이 저장되는 경로입니다.  일단 설치부터 해볼게요.  위 단계에서 켰던 putty를 끄지 마시구… 첫 번째 줄의 커맨드를 입력해줍니다.

docker run -it -p 19132:19132/udp ixilon/nukkit

run = 컨테이너를 새로 만드는 명령어
-it = 컨테이너 터미널로 들어가는 명령어
-p 19132:19132/udp = 도커밖 19132 udp포트를 도커안 19132 udp 포트로 포워딩하는 명령어

쨘~ 정상적으로 서버가 실행되고 언어를 선택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할게 많이 남았어요.

5. 컨테이너 세이브파일 폴더 마운트하기

시놀로지 웹화면으로 돌아가서 docker패키지를 켜줍시다.  거기서 비디오형식(컨테이너) 탭에 들어가보시면 랜덤으로 생성된 컨테이너 이름이 하나 보입니다.  전 romantic_booth라는 이름으로 생겼네요.

스위치처럼 생긴 버튼을 눌러 컨테이너를 끄고 컨테이너를 선택한 뒤 편집을 눌러줍시다.

자동 재시작 활성화는 체크해주는게 좋겠죠?  저는 컨테이너 이름도 mcpe로 변경하겠습니다.

전 단계에서 봤던 두번째 하이라이트 했던 부분을 보시면.. /srv/nukkit 이라는 경로가 보입니다.  이걸 2단계에서 만든 폴더에 연결해줘야 서버를 껐다 켜도 데이터가 남아있습니다.

볼륨 탭에 들어가서 폴더 추가를 누르고 2단계에서 만드신 폴더를 선택하고 오른쪽 칸에 /srv/nukkit 을 넣어줍시다.

확인을 누르고 컨테이너를 다시 켭니다.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세부사항을 클릭한 뒤 로그 탭으로 이동하면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저랑 똑같이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로그가 보일텐데 이 시점에서는 아직 언어를 선택하지 않아 마크서버가 시작이 안되었을겁니다.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들어가봅시다.

ssh에 루트권한으로 접속하여 다음 코드를 칩니다.

docker attach mcpe

mcpe는 제가 아까 설정한 컨테이너 이름입니다.  본인의 컨테이너 명을 대신 넣으세요.
attach는 실행중인 컨테이너로 들어가는 명령어입니다.
한국어는 kor 이었죠.  들어가면 kor 을 칩니다.

여기서 help를 누르시면 사용가능한 커맨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커맨드에 대해서는 직접 보고 필요하신거 쓰시면 될 거 같습니다.

6. 플러그인 설치하기

제가 뭐 nukkit 플러그인에 별로 관심이 없어서 플러그인별 설치방법까지는 모르지만 테스트삼아 EssentialsNK 플러그인을 설치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 링크에서 EssentialsNK 플러그인을 다운받아줍시다.

https://nukkitx.com/resources/essentialsnk.15/

다운받은 파일을 초반에 만든 폴더에 생성된 Plugins 폴더 안에다가 넣어줍시다.

그리고 컨테이너를 껐다가 킵니다.  ssh로 접속하여 docker restart mcpe (mcpe는 제가 설정한 컨테이너 이름) 를 입력하여 재시작 시킬수도 있고 그냥 시놀로지의 도커 패키지화면에서 비디오 형식탭에서 스위치모양 버튼을 눌러서 껐다가 켜도 됩니다.

그리고 터미널에서 docker attach mcpe를 입력하여 해당 컨테이너에 드간뒤, help를 눌러봅니다.

EssentialsNK는 사용할 수 있는 커맨드를 추가해주는 플러그인인데 확실히 커맨드가 훨씬 많아진게 보입니다.

이렇게 플러그인 적용도 완료해봤습니다.

7. 포트포워딩하기

외부접속하려면 포트포워딩도 하셔야합니다.
집 공유기 관리화면으로 접속하여 19132 udp 외부포트를 19132 udp 내부포트랑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공유기별 포트포워딩 하는법이 다 다른데 개념만 알고있으면 하나씩 메뉴 드가다 보면 나옵니다.  하랑님이 쓴 공유기 포트포워딩하는법 공유합니다.
공유기 포트포워딩 하는 법

8. 마인크래프트 PE에서 접속하기

마인크래프트 PE 를 샀다고 가정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제가 해보니까 우선 xbox 계정이 필요한데 이미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안되더군요… 그래서 검색해보고 새로 계정 만들었습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해서 로그인
https://www.xbox.com/ko-KR/
계정을 만드세요
새 전자메일 주소받기
원하는 메일주소 입력
원하는암호입력
동의하고계정만들기
성,이름입력
국가:미국, 생년월일:1990년 이전에 태어난걸로 아무거나
스팸방지문자입력
동의함

이렇게 만든 계정으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만19세 이상은 그냥 한국계정 쓰고 아이핀인증하면 된다고 했는데 이상하게 저는 안되네요.

계정 로그인하고 폰으로 마크를 켜서 서버탭으로 갑니다.

맨위에 서버추가가 있습니다.

서버이름:아무거나
서버주소:나스의 외부아이피나 만약 공유기나 나스에 DDNS설정되어 있다면 ddns명을 넣어도 좋습니다. 외부아이피 모르겠으면 네이버가서 내아이피라고 치면 바로 뜹니다.
포트:19132
저장

이제 서버탭 맨아래에 추가된 서버를 눌러 들어갈 수 있습니다.

9. 접속하면 서버가 꺼지는 경우 해결방법

저 같은 경우는 자바 세큐리티쪽에 문제가 있어서 그랬던 건데 다른 이유로 서버가 다운되는 분들은 참고 안되실듯. 해결법은 여기에서 찾았습니다.
일단 ssh로 나스에 접속하고 루트권한을 획득한 후 아래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vi /volume1/@appstore/Java8/j2sdk-image/jre/lib/security/java.security
경로찾느라 힘들었습니다..
※추후 자바 패키지또는 dsm 업그레이드시 경로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키보드 ↓키를 눌러 내려가다보면 다음과 같은게 보일겁니다.

아마 security.provider.9 까지 있으실텐데, 10을 추가해줍시다.  9밑에 그림과 같이 입력해줍시다.
security.provider.10=sun.security.ec.SunEC

그리고 :wq를 입력하여 빠져나갑니다.
:wq는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여기까지하면 정상적으로 접속될겁니다.

볼륨 만들기 (시놀로지) RAID? SHR?

볼륨 만들기 (시놀로지) RAID? SHR?

시놀로지 나스를 처음 설치하고 초기설정은 끝나셨나요?  그럼 이제 디스크 볼륨 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단계별로 하나씩 알려드리니 따라오기만 하시면 됩니다.  일반 RAID 와 SHR 의 차이도 알아봅시다.

우선 메뉴에서 저장소 관리자 앱을 실행합니다.  볼륨 탭에서 생성을 클릭합니다.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볼륨 생성 마법사에서 빠름(SHR)과 사용자지정(RAID)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HR 은 당장 디스크가 모든 베이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남은 베이들을 추후에 설치될 디스크들을 위해 예약해놓습니다, 서로 다른 용량의 디스크를 사용할 때 더 많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디스크를 더 용량이 큰 디스크로 교체할 때도 유리합니다.  RAID는 한번 지정하면 새로운 디스크가 설치되도 변경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서로 다른크기의 디스크를 사용할 경우 모든디스크가 제일 용량이 적은 디스크의 용량만큼만 쓸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전 RAID를 더 선호합니다.  RAID도 종류가 다양한데 그 부분은 나중에 자세히 쓰겠습니다.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볼륨 에 추가할 디스크를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줍시다.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쓰던 하드라서 중요한 정보가 들어있다면 백업해놔야겠죠?  확인클릭.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예로 하는게 안전하니 전 예로 합니다.  디스크 검사중에 사용을 못하는건 아니니까요.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고급기능 사용을 위해서 Btrfs형식으로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다음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원하는 설정인지 확인하고 적용 클릭.

볼륨 만들기 설명 텍스트

디스크 2개를 SHR 로 묶어 볼륨을 생성한 화면입니다.

시놀로지 RAID계산기

볼륨 만들기 (시놀로지) RAID? SHR?

나스 초기설정 하는 법! (시놀로지)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 어떻게 하지?

나스를 처음 다룬다면 구매하고 전원을 연결한 후, 설정화면에서 처음보는 단어들 때문에 조금 어렵게 느끼시는 분도 있을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초기설정 하는법과, 각 단어의 의미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시놀로지 NAS에 접속하기

초기설정 을 하려면 먼저 나스에 연결부터 해야겠죠? 시놀로지 NAS에 연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Synology Assistant를 설치하여 접속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http://NAS의 IP주소:5000로 웹브라우저에서 접속하는 것입니다. Synology Assistant는 시놀로지 다운로드 센터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두 번째 방법으로 접속해보겠습니다.  우선 공유기의 설정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저는 Asus공유기를 사용하여 http://router.asus.com을 치면 공유기 설정페이지가 뜹니다.  Asus공유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편하게 공유기와 연결된 클라이언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라이언트 이름에 DiskStation이라고 표시됩니다.  http://해당 클라이언트의 아이피주소:5000을 브라우저에 치면 접속하실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2. 초기설정 하기

처음에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나스 초기설정 화면이 보일겁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설정을 클릭합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DSM은 시놀로지 NAS의 운영체제 이름입니다.  지금 설치 클릭.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초기설정 시에 기존에 뭔가 들어있는 디스크를 넣은채로 설치를 진행하시면 데이터가 다 사라집니다.  다른곳에 백업 해두시기 바랍니다.  확인.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설치되는 동안 다른거 하면서 기다려줍시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10분 걸린다고 하는데 그렇게까지 오래걸리진 않으니 무시하고 나스주소:5000으로 다시 접속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체감상 2분 걸린거 같습니다.  준비가 끝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서버이름은 NAS의 이름입니다.  원하시는 걸로 지정해주면 됩니다.

여기서 설정하는 사용자이름과 패스워드는 앞으로 나스에서 사용할 ID와 비밀번호입니다.

업데이트와 유지보수에 대한 항목입니다.  저는 최신 DSM버전을 매일 새벽 4시반에 설치하는걸로 설정해놓았습니다.  S.M.A.R.T. 테스트는 해도되고 안해도 되지만 나중에 하드디스크 상태가 안좋아졌을때 바로 알 수 있게 체크해둡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이제 QuickConnect 계정을 초기설정 해야하는데 Synology 계정이 없으면 새 Synology계정으로 QuickConnect ID설정에서 설정해줍시다.  여기서 생성하는 계정은 NAS관리계정이 아닌 시놀로지 계정입니다.  다른 시놀로지 나스에서도 여기서 만든 계정으로 퀵커넥트 ID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퀵커넥트ID는 각종 기기와 앱에서 포트포워딩없이 나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앱과 프로그램에서 NAS주소를 치는란에 그냥 퀵커넥트ID만 쳐도 접속가능합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바탕화면으로 끌고 가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생성되는데, 해도되고 안해도 됩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이제 모두 완료되어 시놀로지 나스의 관리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초기설정 하는 방법에 대한 사진

초기설정 이 끝났다고 바로 파일들을 나스에 넣고 뺄 수 있는건 아닙니다.  그 다음은 볼륨을 생성하여 파일을 저장할 공간을 만들어 줘야 하는데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볼륨 만들기

시놀로지 마인크래프트 모바일 서버 설치 (Nukkit)

Odoo 번역 하기 (Team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이전에 포스팅했던 PO파일로 Odoo 번역 하는 방법으로 해보면 몇몇 수정된 문장이 적용이 안되는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테이블을 삭제하고 재생성하면 해결됩니다.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의 웹 GUI환경인 TeamPostgresql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용안된 번역을 삭제하고, Odoo를 번역해봅시다.  TeamPostgresql을 아직 설치하지 않았다면 이 글을 참고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시놀로지 NAS에 설치할 때 기준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1. TeamPostgresql로 odoo 번역 하는 법

TeamPostgresql 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직접 번역해봅시다.

Quick Query에 아래그림과 같이 필터설정하고 Search for에 찾으려는 번역을 입력한 후 Search를 클릭합니다.

odoo 번역 하는법 - teampostgresql

검색된 테이블에서 수정할 부분을 선택한 후, 빨간색 동그라미가 쳐진 수정버튼을 눌러 수정모드로 바꿉니다.

src는 원본소스. value는 번역된 문장을 나타냅니다. value를 원하는대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odoo 번역 하는법 - teampostgresql

수정이 끝났으면 좌측 끝 녹색체크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odoo 번역 하는법 - teampostgresql

2. 적용안된 번역테이블 삭제하고 다시만들기

수정한 odoo 번역 이 새로고침한 이후에도 적용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고 다시 만들어서 번역하면 해결됩니다.

1번 단계 2번째 사진에서 수정버튼을 누르기전에 빨간색 X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테이블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삭제한 후에는 odoo로 로그인하여 개발자모드로 들어갑니다.

odoo 번역 하는법 - teampostgresql

설정(Setting)-번역(Translation)-Application Terms-General Missing Terms 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고 갱신(Update)합니다.

odoo 번역 하는법 - teampostgresql

3. TeamPostgreSQL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다시 번역하기전에 갱신하고 1번 단계대로 번역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데이터베이스 옆의 돌아가는 화살표모양 버튼을 클릭해주면 바로 갱신됩니다.

odoo 번역 하는법